본문 바로가기
깃허브/Git

git) 깃 / 깃허브 기초 개념 요약

by nomfang 2021. 4. 19.
728x90
반응형

 

git

git은

1. 파일의 버전 관리

2. 공유 및 협업에 매우 강력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git hub

git hub 는

git에서 현재 관리된 버전의 파일을 

공유하는 원격 저장소를 관리하는 hub임

 

hub는 중심이란 뜻으로

usb 허브 등의 장치에서 사용하는 hub라는 단어 같은 뜻으로 봐도 됨

 

git 에서 관리한 버전의 파일들을 git hub라는 원격 공간에서 관리하고 공유하는 것

git은 내 컴퓨터 / git hub는 클라우드 라고 이해해도 크게 문제는 없을듯

 

git hub처럼 git lab이란 것도 존재하는데 

간단하게 이해하면 git hub와 비슷하게 개인화?한 시스템으로 오픈소스이다

git gub는 windows 같은 느낌

git lab은 linux 같은 느낌 

 

 

1. git 의 버전 관리

local pc의 파일 버전을 관리함

 

버전 관리

과제물 제출시

_v0.1, _v2.1, _최종, _최종의최종, _진짜진짜최종, _찐막, _찐막아닐시사람아님, _사람아님

등의 모든 파일 버전을 저장하고 수정, 이동 등의 관리를 할 수 있는 것 (기본적으론 지난 버전이 삭제되지 않음)

 

깃 저장소 생성

로컬 저장소 생성 방법은 위의 깃 저장소 생성 클릭

 

 

 

- local 저장소

출처:https://git-scm.com/
출처 : https://git-scm.com/

 

로컬 저장소

working directory,

staging area,

repository 로 구분됨

 

우리가 local에서 git init으로 생성한 .git 저장소는 숨김파일로 생성되고

working directory에 해당한다

 

local이란 우리의 pc라고 생각하면 된다

 

git add

working directory에서 작업중인 파일을

staging area로 올려 현재 버전으로 지정하는 것 (버전 분리)

 

git commit

staging area의 현재 버전들을

repository로 올려 현재 버전을 확정, 저장하는 것 (master)

 

 

2. git hub 

local에서 commit된 버전을 공유할 수 있는 원격 저장소를 관리하는

 

 

- 원격 저장소

이고잉(생활코딩)님 그림

말 그대로 원격의 저장소에서 파일을 저장하고 최신 버전을 내려받을 수 있는 

pull (fetch + merge)하여 원격 저장소의 현재 버전을 내려받을 수 있고

local 저장소에서 수정한 commit을 push하여  원격 저장소에 새로운 버전을 생성할 수 있다

 

- git hub

아이디 생성 후

프로필 - Your repositories - New(초록색) - 저장소 이름 입력 - Create repository - https주소

 

프로필 이미지 클릭
저장소로 이동
New로 새로운 저장소 만들기
저장소 이름 입력 후 Create
https 주소 복사

새 폴더에서 오른쪽 마우스 - git bash로 실행 (mac의 경우 '폴더에서 새로운 터미널 열기')

터미널에서 'git clone 주소 .' 입력

=> 마침표(dot) : 현재 폴더에 내용을 생성/ else :  폴더 내에 폴더 생성

 

git clone된 위치에서 git처럼 사용 후 push로 업로드 pull로 다운로드 하면 됨

 

 

반응형

'깃허브 >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git의 기본 개념  (0) 2022.01.13
git) 형상관리를 위한 git  (1) 2022.01.13
git) 깃 명령어와 약간의 branch/HEAD/checkout 개념을 곁들인..  (0) 2021.04.19
git 시작하기  (0) 2020.12.31
git 설치  (0) 2020.12.3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