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정수와 유리수3 유리수와 소수의 관계 1. 정수가 아닌 모든 유리수는 유한소수, 순환소수로 나타낼 수 있다 2. 유한소수와 순환소수는 분수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유리수이다 순환하지 않는 무한 소수는 유리수가 아니다 2020. 12. 31. 유리수의 분류 1. 유리수 : 분수 \( {a \over b} \) (a,b는 정수이고 != 0)의 꼴로 나타내어지는 수 2. 유리수의 분류 분수를 기약 분수로 만들었을 때, 분모가 1이면 정수, 아니면 유리수이다 기약분수 : 분모와 분자가 서로소로 더이상 나누어지지 않는 분수 2020. 12. 31. 정수와 유리수 1. 정수 : 양의 정수, 0, 음의 정수 양의정수 : 자연수 음의 정수 : 자연수에 음의 부호를 붙인 수 2. 유리수 : 양의 유리수, 0, 음의 유리수 유리수는 모든 정수를 포함한다 = 모든 정수는 유리수이다 유리수 : 분자 분모가 자연수인 숫자와 분수 3. 모든 정수는 유리수이다 정수는 \( +2=+{2\over1} \) 과 같이 분수로 나타낼 수 있다. ex) 두 유리수 \( -{3\over2} \) 과 \( {2\over3} \) 사이에 있는 정수가 아닌 유리수 중 분모가 6인 유리수의 개수는? 두 수의 분모를 6으로 맞춰준다 분모와 분자가 같은 숫자는 정수 1이다 2020. 12. 27.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