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루트 노드부터 시작하여 매 순간의 가장 큰 값을 선택하는 알고리즘
-> 일반적 상황에서는 최적의 해를 보장할 수 없을 때가 많다
하지만 코테에서는 탐욕법을 사용하여 얻은 해가 최적의 해가 되는 상황에서 그리디를 추론할 수 있으면 됨
1. 거스름돈 문제
500원 100원 50원 10원짜리 동전이 무한히 존재한다고 가정하고
거슬러 주어야할 돈이 N원일 때, 거슬러줘야하는 돈이 항상 10의 배수일 때
동전의 최소 개수를 구하시오
=> 그리디 알고리즘으로 가장 큰 화폐단위 부터 돈을 거슬러주면 된다
=> 큰 단위가 작은 단위의 배수이기 때문
=> 큰 단위가 작은 단위의 배수가 아니라면 그리디 알고리즘으로 풀 수 없다
=> 거스름돈의 시간 복잡도는 O(K)(동전의 종류 개수에 영향을 받는다)
2. 1이 될 때 까지
N,K는 양의 정수이고 각각 2 이상일 때, N을 K로 나누거나 1을 뺄 수 있다
N이 1이 될 때 까지 진행하는데 가장 적은 실행으로 1을 만든다
=> 최대한 많이 나누는 것이 가장 적은 실행 결과를 준다
=> 나누어지지 않으면 -1을 한다
반응형
'자료구조_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고리즘) 정렬 알고리즘 (0) | 2021.06.05 |
---|---|
알고리즘) DFS(깊이 우선 탐색), BFS(넓이 우선 탐색) (0) | 2021.06.04 |
알고리즘) 탐색 - 스택, 큐, 재귀함수, 팩토리얼 (0) | 2021.06.02 |
알고리즘) 구현 - 시뮬레이션, 완전탐색 (0) | 2021.06.02 |
알고리즘) 성능평가 (0) | 2021.05.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