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ervlet Spec에 맞는 Tomcat 버전을 선택해야 한다
이클립스
통합 개발 환경
다양한 powerful 서비스를 연결하여 자동적으로 받을 수 있게 해준다
개발자는 개발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컴파일, 배포, 실행, stop 등의 일을 자동으로 해준다
Servlet
자바를 사용하여 웹페이지를 동적으로 생성하는 서버측 프로그램 혹은 그 사양을 말하며, 웹 서버의 성능을 향상하기 위해 사용되는 자바 클래스의 일종이다.
installer 보다는 zip 파일
bin : 서버 실행, stop과 관련된 파일들
conf : 서버 설정 문서
webapps : 가장 상위 디렉토리, 모든 소스코드가 서버 상에 배포됨
JSP
Servlet을 태그 형식으로 만든 것
WAS
객체 생성의 주체가 서버
.class 파일을 WAS로 올리면(webapps 하위에 배포) 서버가 객체를 생성
main method는 JVM에서만 존재함
file -> new -> Dynamic Web Project 선택
J2EE의 Context
J2EE의 프로젝트는 Context
이클립스에서의 Servers
- 소스코드 작성, 저장 - 컴파일
- Run On Server 클릭 - 서버 실행
- 서버 Start up
- 작성한 코드를 Context Path 단위로 서버에 배포 (webapps 폴더 하위에)
- 서버에 배포된 파일을 브라우저로 요청
- 응답 결과를 다시 브라우저로
설정
conf 폴더 내부의 server 파일에서 port 설정
더블클릭
ctrl + s 로 저장
run as -> run on server 로 실행
WAS는 xml 주문서를 보고 서버 맵핑 작업을 한다
@WebServlet("/MyServlet2") - Annotation을 여러줄의 XML로 바꿀 수 있어야 한다
<servlet>
<servlet-name>MyServlet2</servlet-name>
<servlet-class>web.servlet.MyServlet2</servlet-class>
</servlet>
<servlet-mapping>
<servlet-name>Myservlet2</servlet-name>
<url-pattern>/MS2</url-pattern>
</servlet-mapping>
반응형
'프로그래밍 언어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11/09 - Web의 3tier 구조, MVC Architecture (0) | 2021.11.09 |
---|---|
Java) 11/09 - 웹 서버와 WAS (0) | 2021.11.09 |
Java) 11/5 - Entity (0) | 2021.11.05 |
Java) 11/04 - JDBC 개발 순서 (0) | 2021.11.04 |
Java) 11/04 - JDBC 상수 모듈화 (0) | 2021.11.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