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ervlet
Servlet은 WAS(Container) 실행 시 생성 됨
Servlet끼리의 통신은 Attribute (get/set)
Servlet의 네비게이션으로 JSP 연결
Servlet(Controller) - 로직 중심
JSP(View) - 태그 중심 (자바 코드가 직접 들어가면 좋지 않다) / JSTL 사용
Attribute
- ServletRequest
- HttpSession
- ServletContext
- DB 데이터 이동
- 바인딩
- 페이지 이동
JSP
Container(logic만 이해한다) 에서는 JSP(.java) 파일을 서블릿으로 변환해야 함
.class로 compile
-> D.D파일
-> init()
-> service()
JSTL / EL
JSP에서 사용하는 태그 기반?
JSTL 사용
- WEB-INF 하위 lib 안에 jstl.jar, standard.jar파일 추가
- taglib를 선언부에 지정
<%@ taglib preifx="c" uri="http://java.sun.com/jsp/jstl/core" %>
<c:if test="${param.num==100}"> <!-- 화면으로 들어오는 값은 param으로 받는다 -->
100입니다
</c:if>
반응형
'프로그래밍 언어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11/17 - Spring (0) | 2021.11.17 |
---|---|
Java) 11/16 - Factory Method Pattern (Spring Framework MVC) (0) | 2021.11.16 |
Java) 11/15 - Front Controller Pattern (0) | 2021.11.15 |
Java) 11/15 - MVC3 (0) | 2021.11.15 |
Java) 11/15 - Session과 cookie (0) | 2021.11.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