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1. 연립방정식 : 두 일차방정식을 한 쌍으로 묶어 놓은 것
2. 연립방정식의 해 : 두 방정식을 모두 만족시키는 값
미지수가 2개인 연립 방정식
\( x \) ,\( y \)의 식을 \( x \)의 식으로 통일시킨다
ex)\begin{cases} x+y=5 \\ 2x+y=7 \end{cases}
일 때,
\begin{cases} y=5-x \\ 2x+(5-x)=7 \end{cases}
로 나타낼 수 있다
\( 2x + 5 - x = 7\)은
\( 2x - x = 7-5 \)가 되므로,
\( x = 2\) 이다
\( y = 5 - x\) 이므로,
\( y = 3\) 이 된다
반응형
'수학 > 중학 수학2(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함수의 뜻과 표현 (0) | 2021.01.02 |
---|---|
연립방정식의 활용(2) - 거속시 (0) | 2021.01.02 |
일차부등식의 활용(2) - 거속시 (0) | 2021.01.01 |
부등식의 성질 (0) | 2021.01.01 |
지수 법칙 (0) | 2020.12.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