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프로그래밍 언어115

Java) method method 코드의 순서가 아닌 호출된 순서대로 실행된다 method 작성법 클래스 내부에서 선언되어야 한다 접근제한자 [기타제한자] 리턴타입 메소드이름(){ }; modifiers returnType method이름() // 선언부 { // 구현부 }; modifiers(제한자) - 0개 이상 올 수 있다 접근할 수 있는 범위를 제한하는 것 접근 제한자 (access modifier) public: 어디서나 아무나 접근 가능 protected: 상속관계라면 어디서나 (package) : 같은 폴더 내에 있으면 아무나 접근 가능 private: : 은닉(캡슐화), 접근 범위 가장 낮음, class 내부에서만 접근 가능 public > protexted > 생략 > private 기타 제한자 static .. 2022. 1. 21.
Java) 11/17 - Spring 요청 -> 인증 -> 인증별 서비스 권한 요청이 들어왔을 때 서블릿에서 forward 시 was에서 호출하고 servlet의 권한, 인자 값을 jsp에서 물려받음 Spring DI : DAO, DAOImpl의 재사용성을 높이기 위해 나온 기술 MyBatis : DB와 DAO를 연결하는 SQL의 재사용성을 높이기 위한 기술로 한국에서 주로 사용됨 Spring Framework MVC : Spring Framework에서 사용하는 MVC, FactoryMethodPattern 패턴 스프링을 배운다는 것은 위의 3가지 모듈을 전부 배운다는 것 스프링에서 객체를 생성 시 기본 생성자를 무조건 작성 JSP jsp의 결과 페이지는 PC 화면에 최적화 되어있다 -> 모바일, 태블릿pc 등에는 맞지 않는 화면 => 데.. 2021. 11. 17.
Java) 11/16 - Factory Method Pattern (Spring Framework MVC) Component는 Interface를 상속받은 Java Class 1. Controller Interface 작성 2. 기능별 컴포넌트 작성 3. ControllerFactory (컨트롤러를 생성하는 싱글톤 패턴) 4. FrontController 서블릿 생성 (Dispatcher - 네비게이션 역할을 함) 5. FrontController 서블릿에서 Factory를 통해 Controller 객체 리턴 받는다 6. Controller.handle()을 사용하여 Controller 데이터 타입으로 컴포넌트 실행 결과를 받아옴 2021. 11. 16.
Java) 11/15 - JSP/Servlet 정리 Servlet Servlet은 WAS(Container) 실행 시 생성 됨 Servlet끼리의 통신은 Attribute (get/set) Servlet의 네비게이션으로 JSP 연결 Servlet(Controller) - 로직 중심 JSP(View) - 태그 중심 (자바 코드가 직접 들어가면 좋지 않다) / JSTL 사용 Attribute ServletRequest HttpSession ServletContext DB 데이터 이동 바인딩 페이지 이동 JSP Container(logic만 이해한다) 에서는 JSP(.java) 파일을 서블릿으로 변환해야 함 .class로 compile -> D.D파일 -> init() -> service() JSTL / EL JSP에서 사용하는 태그 기반? JSTL 사용 WE.. 2021. 11. 1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