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수학33 줄기와 잎 그림 1. 변량 : 자료를 수량으로 나타낸 것 2. 줄기 잎 그림 : 줄기와 잎으로 자료를 나타낸 그림 3. 줄기 : 변량의 가장 첫 번째 자리의 값 4. 잎 : 변량의 첫 번째를 제외한 나머지 자리의 값 줄기와 잎 그림 그리기 1. 변량을 줄기와 잎으로 구분한다 2. 줄기를 왼쪽에 작은 값부터 세로로 나열한다 3. 각 줄기에 해당하는 잎을 오른쪽에 작은것 부터 가로로 나열한다 → 중복되는 변량도 모두 쓴다 4. 1자리수의 줄기는 0이다 줄기 잎 그림은 구간 값이 10인 도수분포표와 히스토그램 같다고 볼 수 있다 2020. 12. 30. 정비례와 반비례 정비례 1. 정비례 : \( x \) 의 값이 2배, 3배..로 변함에 따라 \( y \)의 값도 2배, 3배..로 변하는 관계 2. 정비례 관계식 : \( y = ax \) (a!=0) 3. 정비례의 성질 : \( {y \over x} \) 의 값이 일정하면 \( x, y \) 는 정비례 한다 \( y= ax +b \) 의 식은 정비례가 아니다 식 \( y = ax \) 의 그래프 반비례 1. 반비례 : \( x \)의 값이 2배, 3배..가 됨에 따라 \( y \) 의 값이 \( 1 {\over} 2 \) 배 \( 1 {\over} 3 \)배..로 변하는 관계 2. 반비례 관계식 : \( y = {a \over 2} \) 3. 반비례의 성질 : \( xy \)의 값이 일정하면 \( x \). \( y.. 2020. 12. 30. 등식과 방정식 1. 등식 : 등호(=)를 사용하여 두 수나 식이 서로 같음을 나타낸 식 등호를 기준으로 왼쪽을 좌변, 오른쪽을 우변이라고 부른다 양변 : 좌변과 우변 모두 참인 등식과 거짓인 등식 모두 존재한다 2. 방정식 : 미지수의 값에 따라 참이 되기도, 거짓이 되기도 하는 등식 해 (또는 근) : 방정식을 참이 되게하는 미지수의 값 방정식을 푼다 : 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것 3. 항등식 : 미지수에 어떤 식을 대입하여도 항상 참이 되는 등식 등식의 성질 → 등식의 양변에 같은 수를 사칙연산 하여도 등식은 성립한다. 2020. 12. 27. 다항식과 일차식 다항식 항 : 수 또는 문자의 곱으로만 이루어진 식 상수항 : 숫자로만 이루어진 항 계수 : 수와 문자의 곱으로 이루어진 식에서 문자 앞에 곱해진 수 단항식 : 한 개의 항으로만 이루어진 식 다항식 : 단항식 또는 두 개 이상의 항의 합으로 이루어진 식 일차식 차수 : 항에 포함되어 있는 어떤 문자의 지수 다항식의 차수 : 다항식에서 차수가 가장 큰 항의 차수 일차식 : 차수가 1인 다항식 상수항의 차수는 0이다 2020. 12. 27. 이전 1 ··· 3 4 5 6 7 8 9 다음 728x90 반응형